디지털광고 지식창고
소비자 광고기피현상
스마트폰의 발달의 콘텐츠 범람으로 사람들이 광고 기피현상이 심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젊은 층의 광고 콘텐츠들은 소비자들의 광고 기피현상을 만든는 주범이라고 합니다.
모바일의 작은 화면에서 수시로 나오는 콘텐츠는 소비자들의 피로감을 높이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애드블록으로 대표되는 광고 차단 소프트웨를 사용하여 보기 싫은 광고를 적극적으로 차단하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유튜브는 광고없는 프리미엄 회원제를 출시하여,
사람들의 이런 광고 기피현상을 다양 사례를 통해 입증하였습니다.
이외에 광고차단 형태를 추적하는 기업 페이지페어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광고 차단서비스 이용자는 모바일웹의 경우 6억명 이상, 데스탑의 경우 3억명이라고 합니다.
특히 모바알의 경우 매년 이용자 수가 30% 씩 늘어나는 추세를 감안해보다면,
앞으로 이런한 광고차단 기능은 앞으로 쭈욱 증가할것이라 보입니다.
2016년 부터는 삼성전자도 갤럭시 시리즈에 광고 차단앱을 설치 할 수 있도록 허용했습니다.
국내의 광고 차단앱 이용 수준의 현재까지 굉장히 높아지고 있습니다.
광고대행사 및 광고주들의 역량고도화
이러한 소비자들의 광고 기피현상으로
광고에 대한 새로운 기술과 마케팅 도구들을 활용해 브랜드의 고민을 직적으로 해결하고 자하는
퍼포먼스 마케팅의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어지고 있습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소비자와 광고주를 바로 이어주는 디지털 채널의
증가와 연결성의 강화는 광고대행사들의 입지를 더욱 좁히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 보면 해당 채널들의 고도화되고 전문화된 타겟팅을 대행사만의
강점으로 가져간다면, 오히려 기회가 될수도있을 듯 합니다.
네이버나 카카오톡의 경우는 미디어렙사라는 전문 미디어 광고회사들에게만
광고판매권이 주어지면서 아직까지는 광고들에 대한 영역의 확장 과 역할들은 완전히 넓어지지는 않은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미디어의 다양화와 확장으로 다양 한 브랜드 및 앱에 대한 광고 플랫폼과 자신의 전문성을 살리는 광고대행사와 같은 회사들이 광고 회사를 차림으로써 이제는 전통적인 광고대행사에서 새로운 형태의 대행사로 변화되고 있습니다.
오늘의 이야기는 여기서 마무리해볼게요!
'디지털광고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아두면 좋은 디지털 온라인 마케팅&광고 용어 (0) | 2020.02.18 |
---|---|
구글애드워즈 인증 시험 보는 방법 (디스플레이) (0) | 2019.11.18 |
토스 행운퀴즈 참여방법 쉽게 알아보자! (0) | 2019.11.09 |
구글 애널리틱스 추적 ID 확인 및 티스토리 적용 방법 (0) | 2019.08.04 |
CPM, CPC, CTR, CPV, VTR 온라인 광고용어정리 엑셀 첨부 (0) | 2019.07.23 |